기술수출
상담 사후관리(FUS) Follow Up Service

특정한 장소에서 수요자(Buyer)와 공급자(Seller)가 만나 기술제품 우수성과 상대방 사업개발 의지를 파악하기 위해 상호 질의/응답을 통해 추후 구체적인
거래 협상 가능성 타진하는 B2B 상담이 수출상담회(O2O), 무역사절단, 해외 전시회 등과 같은 수출 행사를 통해서 끊임없이 발생

국내 일부 참가기업(SELLER)은 B2B 상담 이후 연락사무(통역사 부재), 자료 제공, 샘플 공급 등의 측면에서 후속 조치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사후관리 진행률 29%)

  • 상담 다수 예약
  • 적합성
  • 신용상태
  • 상담 다수 예약
  • 적합성
  • 신용상태
  • 상담자료 부실
  • 상담 Skill 부족
  • 1회성 통역 지원
  • 연락 두절
  • 거래구조 未 결정
  • 합의사항 未 이행

B2B 상담회 이후, △자료 교환 △추가 상담 △상호 방문 △자산실사(공장 방문 등) △계약 체결 등의 측면에서 진척도를 파악할 필요
- B2B상담회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계약 성과 조사
- 연락사무/ 바이어 방한/ 영문 문서 작성/ 통역/ 계약협상/ 타 지원사업 신청 등의 측면에서 애로사항 파악

B2B 상담회에서 높은 관심을 보인 유망 바이어(유효 상담)와 재 접촉을 통한 추가 상담을 주선하는 한편, △바이어 신용조사 △수출 협상과 계약
△수출사무(통관/관세/물류/라벨) 등의 측면에서 자문(멘토링)

B2B상담의 수출 계약 성사율 제고

상담 자료 분석

  • 한국 Seller
  • 해외 Buyer
  • 상담일지
  • GO / NO - GO 상황

상담 등급 분류

  • 잠재거래선
    (Sales Pipeline) 정리
  • A급 (유효 상담)
  • B급 (보통 상담)
  • C급 (포기 상담)

A급 상담 사건

  • 바이어 카드 작성
  • 애로 요인파악
  • 연락 사무

협상 자문

  • Trade Inquiry 대응
  • 자산실사 (dd)
  • Term Sheet 작성
  • 협상 시나리오 기획

착수회의

  • 사후관리 목적 설정
  • 자문 범위 확인
  • 일정계획수립
  • 예상 산출물 확정

추가 거래선 발굴

  • Sales Pipeline 재작성 (B급 상담바이어 포함)
  • 관심의향서(EOI) 작성
  • 추가 B2B 상담

지원사업 연계(If Any)

  • 행정(통관/ 관세/ 물류/ 라벨)
  • fta / 인증 / 기술실증
  • 지식재산권

계약 자문

  • 계약서 (초안) 작성
  • 계약 조문 내용 조정
  • 마무리조율 (화상)
  • 상호 Sign-Up
  • B2B 상담회 참가기업의 사후 활동 파악 통한 성과분석
  • B2B상담 사건의 계약 체결 향상되어 매출 증대
  • 언어와 문화 장벽 해소 통한 지속적 연락 가능